‘전력 다이어트’ 실외조명 400만개 LED 교체 착수
페이지 정보

본문
정부가 가로등·보안등·터널등을 포함한 전국의 실외조명 400만개를 발광다이오드(LED)등이나 스마트 가로등으로 교체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갔다.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력 낭비를 최대한 줄이겠다는 취지다.
23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243개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실외조명 운영 현황이 파악되지 않은 108개 지자체에 공문을 보내 운영 실태 보고를 요청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지난 14일까지 취합을 마쳤고 현황을 분석 중이다.
산업부가 실태 조사에 나선 것은 할로겐·삼파장·나트륨 전구를 쓰는 기존 가로등을 LED로 교체하기 위해서다. 전국의 실외조명이 LED로 바뀌면 전력소비량을 최소 4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LED등이 기존 등에 비해 수명이 길고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LED등은 삼파장 전구와 비교해 5배가량 더 오래가고, 절전 효과도 60%에 달한다.
현재 전국의 지자체가 관리하는 실외조명 가운데 LED로 교체가 완료된 비율은 62%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나머지 38%의 실외조명도 LED로 바꿀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검토할 방침이다.
정부는 스마트 가로등 확대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스마트 가로등이란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도로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LED 조명을 원격 제어하는 가로등을 뜻한다. 이 가로등은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이 별로 없는 새벽 시간대에 불빛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조정해 전력을 아낄 수 있다.
문제는 비용이다. LED 가로등을 설치하려면 기존 가로등을 통째로 바꿔야 한다. LED 조명은 나트륨 조명에 비해 발열이 심해 회로기판과 방열판을 함께 부착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구만 바꾸는 게 아니라 가로등 전체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개당 가격이 100만원 정도인 기존 가로등에 비해 LED 가로등은 30%가량 비싸다. 지자체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설치를 미룰 가능성도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가 기술과 자금을 제공해 에너지 절약시설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절감액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의 에스코 사업 적용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로등 교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리 차단책 마련도 과제다. 전북 군산시의 경우 2019년 LED 가로등 교체 업체 선정을 놓고 6억원이 넘는 뇌물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관련링크
- 이전글신봉근 동화전자 대표, “3세대 스마트 LED조명 선두 기술 기업 목표” 23.05.19
- 다음글전자파 약한 LED 조명기기 사후규제로..전파법 개정안 발의 23.04.06